경기도 파주시 관광명소 정보

교하향교

교하향교

향교는 훌륭한 유학자의 위패를 모시고 제사를 지내며 지방민의 교육과 교화를 위해 설립된 고려·조선시대의 국립 교육기관이다. 교하향교는 경기도 문화재로...

성혼선생묘

성혼선생묘

조선 중기 성리학의 대가인 우계 성혼(1535∼1598) 선생의 묘이다. 성혼은 명종 6년(1551) 생원·진사의 초시에는 모두 합격하였으나 복시에 응하지 않고 학문...

화석정

화석정

화석정이 있는 파주시 파평면 율곡 3리는 율곡 이이가 살았던 곳이다. 율곡리 임진강가 벼랑 위에 자리 잡은 조선시대 정자로, 정자에 서면 바로 밑을 흐르는...

파평용연

파평용연

파평을 본관으로 하는 파평 윤씨의 시조 윤신달의 탄생 설화와 관련된 연못이다. 윤신달은 통일신라 말 고려 초의 인물로 이곳 용연에서 태어나 파평 윤씨의 ...

파주 삼릉 - 유네스코 세계문화유산

파주 삼릉 - 유네스코 세계문화유산

파주시 조리읍에 있는 조선왕릉 군(群)이다. 사적으로 지정되었으며, 유네스코 세계문화유산으로도 지정된 파주삼릉은 조선시대 공릉과 순릉 및 영릉을 통칭...

황희정승묘

황희정승묘

황희정승 묘는 파주시 탄현면 금승리에 있으며 선생의 유적지로부터 8km 정도 떨어진 곳에 있다. 황희는 고려 공민왕 12년(1363)에 개성에서 출생하여 27세에...

자운서원

자운서원

경기도 파주시에 있는 서원으로 조선 후기 학자 율곡 이이의 학문과 정신을 기리기 위해 세워졌다. 서원은 훌륭한 유학자의 위패를 모시고 제사를 지내며 지...

용주서원

용주서원

용주서원은 조선 중기 학자이자 청백리에 녹선된 휴암 백인걸(休庵 白仁傑 1497∼1579)의 학문과 덕행을 기리고자 건립된 서원이다. 1598년(선조 31년) 백인걸...

소령원

소령원

소령원(昭寧園)은 조선 21대 영조(英祖)의 어머니 숙빈최 씨(淑嬪崔氏)의 원소(園所)이다. 인근에는 영조의 후궁인 정빈이 씨의 묘소가 있다. 숙빈최 씨는 최...

파주임진팔경

파주임진팔경

우리에게 알려진 임진강 8경의 출처는 내소정 팔경시(來蘇亭 八景詩)에서 유래된 것으로 제1경은 파평면에 있는 화석정이다. 팔각지붕에 초익공 형태로 지어...

교하동 고인돌 산림욕장

교하동 고인돌 산림욕장

동패동 교하중학교 인근 다율동과 당하동, 교하동이 인접한 구릉지대에는 100여 기가 넘는 고인돌이 무리를 이루고 있다. 그러나 군사시설 조성 과정에서 고...

수길원

수길원

수길원(綏吉園)은 마장호수 공원 아래 골짜기를 따라 서쪽으로 좀 내려가면 소령원길과 이어진다. 안으로 더 깊이 들어가면 영조의 어머니인 숙빈 최 씨가 누...

파주이이유적

파주이이유적

이곳은 조선 중기의 대학자이며 경세가인 율곡 이이(栗谷 李珥, 1536~1584) 선생의 유적지이다. 선생의 아명은 현룡(見龍), 자는 숙헌(叔獻), 호는 율곡(栗...

가월리 · 주월리 구석기 유적

가월리 · 주월리 구석기 유적

가월리·주월리 구석기유적(佳月里·舟月里 舊石器遺跡)는 임진강 하안단구 일대에 형성된 구석기시대 유적으로 1988년에 유적이 최초로 발견된 후 5년이 지난 ...

파산서원

파산서원

파산서원은 조선 중기 학자인 청송 성수침(1439~1564)과 그의 아들 우계 성혼(1535~1598), 아우 절효공 성수종(1465~1579) 및 휴암 백인걸(1497~1579)의 위패...

no image

파주 덕은리 주거지와 지석묘군

월롱면 덕은리에 있는 덕은리 주거지와 지석묘군은 문산천에서 서북쪽으로 능선을 따라 정상까지 2~3기씩 군데군데 흩어져 있다. 구릉 정상부에서 서쪽으로 ...

파주향교

파주향교

향교는 훌륭한 유학자의 위패를 모시고 제사를 지내며 지방민의 교육과 교화를 위해 설립된 고려·조선시대의 국립 교육기관이다. 파주향교는 경기도 문화재자...

파주 윤관장군묘

파주 윤관장군묘

파주시 광탄면 분수리에 있는 장군 윤관의 묘소이다. 본관은 파평이며 자는 동현, 시호는 문숙으로 고려 문종 때 문과에 급제하였고 숙종 9년(1104)에 동북면...

no image

파주 장릉 - 인조,인열왕후 - 유네스코 세계문화유산

장릉은 조선 16대 임금인 인조와 왕비 인열왕후 한 씨의 합장능으로 당초 인조가 왕위에 있을 때 정한 문산읍 운천리 대덕골에 있었으나, 1731년(영조 7년) ...

no image

반구정과 황희선생유적지

고려 말기부터 조선 초기의 여러 요직을 거치면서 세종 연간에는 19년간 의정부 최고의 관직인 영의정에 재직하면서 세종대에 가장 큰 업적을 남긴 인물로 평...