충청북도 관광명소 정보

영춘향교

영춘향교

충주 임충민공 충렬사

충주 임충민공 충렬사

충렬사는 조선 중기의 장수인 임경업 장군의 위패를 모신 사당으로 장군의 충절을 기리기 위해 세운 곳이다. 숙종 23년(1679)에 임충민공 충렬사가 건립되었...

연풍향교

연풍향교

연풍향교는 1515년(중종 10)에 훌륭한 유학자들의 위패를 봉안, 배향하고 지방민의 교육과 교화를 위하여 창건되었다. 연풍향교는 충청북도 유형문화재로 지...

우암 송시열묘

우암 송시열묘

송시열(1607∼1689)은 조선 후기의 성리학자이자 문신으로 조선 효종을 도와 북벌정책을 추진하는 등 자주적인 정치를 펼쳤으며, 주자학의 대가로서 많은 인재...

암서재

암서재

암서재는 화양구곡의 하나인 제4곡 금사담 옆 절벽 위에 위치한 서재로 조선 후기의 문신·학자인 송시열이 정계에서 은퇴한 후 학문을 닦고 제자들을 가르치...

수운정 - 단양

수운정 - 단양

* 단양팔경 사인암 위의 정자, 수운정 * 단양팔경의 사인암 윗편 계곡에 있는 정자이다. 단종 때 영의정 유성룡이 운선 9곡을 명명하여 6곡의 자리에 정자를 ...

목은영당

목은영당

목은 영당은 목은 이색의 영정을 봉안한 사당이다. 이색의 학덕과 청주에서의 유서를 기리기 위해 후손인 한산이씨 이붕해(李鵬海)와 그의 종형 이조해(李朝...

제천향교

제천향교

1389년(공양왕 1)에 현유(賢儒)의 위패를 봉안, 배향하고 지방민의 교육과 교화를 위하여 창건되었다. 1590년(선조 23)에 현재의 위치로 이전하였으나 임진왜...

제천 한산사 석조여래입상

제천 한산사 석조여래입상

제천 한산사의 소장유물로 석조여래입상이다. 고려 말기의 불상 양식이 남아 있는 조선시대의 불상이다. 석불은 높이 2.8m이며 벽돌로 만든 대좌 위에 세워져...

음성향교

음성향교

1555년(명종 10)에 현유(賢儒)의 위패를 봉안, 배향하고 지방민의 교육과 교화를 위하여 창건되었다. 1979년에 대성전과 내삼문(內三門) 등을 중수하였다. 현...

봉유재

봉유재

봉유재는 조선 중종 때 안주목사를 지낸 박성량을 기리기 위해 그의 후손들이 인조 10년(1632) 3월에 건립한 재실이다. 이후 두 차례에 걸친 중수 과정이 있...

진천 김유신 탄생지와 태실

진천 김유신 탄생지와 태실

이곳은 흥무왕 김유신 장군이 탄생한 곳으로 가락국의 시조 김수로왕의 13 세손이다. 김유신 장군은 만노군 태수(萬弩郡 太守, 만노: 진천의 옛 이름) 김서현...

옥천 후율당

옥천 후율당

옥천 후율당은 조선 중기의 문신이자 의병장인 조헌(1544~1592)이 보은 현감을 사임하고 옥천에 낙향하여 살 때 지은 조선시대 사당이다. 스승인 이이를 경모...

옥천향교

옥천향교

옥천향교는 훌륭한 유학자의 위패를 모시고 제사를 지내며 지방민의 교육과 교화를 위해 설립된 고려·조선시대의 국립 교육기관이다. 임진왜란 중에 소실되었...

괴산 송시열 유적

괴산 송시열 유적

청천 우암 송시열유적은 화양동계곡 안에 있는 화양서원터(華陽書院址)와 만동묘터(萬東廟址)를 중심으로 암서재, 읍궁암, 애각사적, 묘소와 신도비 등 송시...

노은영당

노은영당

노은영당은 진천군 이월면 노곡 마을의 왜가리 번식지 부근에 있는 사당으로, 조선 선조 때의 문신인 신잡의 영정을 모신 곳이다. 독송 신잡(1541∼1609) 선생...

영동 사로당

영동 사로당

사로당은 영동군 매곡면 노천리에 있는 조선 후기의 서당이다. 현감 박수근이 동생 3인(수인, 수해, 수원)과 함께 4형제가 나이 80세가 되도록 학문을 익히는...

영동 덕수이씨 육세팔효정문

영동 덕수이씨 육세팔효정문

덕수이씨 육세팔효정문은 조선 선조 대부터 영조 대까지 덕수이씨 가문의 6인의 효자와 2인의 효부에 대한 효행을 기리는 정려를 영조 40년(1764)에 한곳에 ...

영동향교

영동향교

지천서원

지천서원

조선 중종 때 김세필이 현재의 위치에 서재를 짓고 은거하였는데, 그가 죽자 지방 유림의 공의로 김세필을 추모하기 위해 서원으로 개조하여 위패를 모셨다. ...